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동문 인터뷰

  • 동문 인터뷰
[동문인터뷰] 미국 Meta Reality Lab 지상우 동문(메카트로닉스공학부 96학번)
“재학시절 유학과 현대차 18년 근무 경험으로 미국 정착 실현”
등록일 : 2025-02-17
조회수 : 1,594

 

세계적인 IT기업 Meta Reality Lab에서 근무하는 지상우 동문(메카트로닉스공학부, 96학번). 그는 졸업 후 현대자동차에서 18년간 근무하면서 자연스럽게 미국 이민과 재취업을 꿈꿨다. 재학시절 교환학생으로 캘리포니아주립대 유학한 것도 작용했다. 그래서 2020년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현 회사에 정착했다. 지씨는 미국 취업을 희망하는 후배들에게 전공 분야 지식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논문, 특허, 개발 및 수상경력이 있으면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그는 현대자동차에 근무하면서 75건 이상의 국내외 특허를 발명하고 학회 발표와 개발 기술 상용화에 많은 활약을 펼쳤다.

지씨는 최근 미국에서 불법 이민자 추방은 강력하게 진행되지만, 해외 우수 이공계 인력에게는 NIW 기술 이민 영주권(EB2)을 제공하고 있어서 앞으로도 많은 우수한 이공계 인력은 미국 취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Q1) 미국 Meta Reality Lab에서 스마트 클래스 개발 업무를 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언제 미국으로 가셨고, 현 회사는 어떻게 입사하셨는지요?

 A) 저는 현대자동차 기술연구소에서 2002년도부터 2020년까지 일하고 Meta Reality Lab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Meta는 Facebook, Instagram 개발 회사로 잘 알려져 있고, Reality Lab은 VR 제품으로 Meta Quest 시리즈와 함께 스마트 글래스인 Ray Ban Meta (RBM)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스마트 글래스 전자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에서도 전자 통신/디스플레이 개발 업무를 10년 이상 하여 미국 Meta 일하는 업무와 비슷한 경험이 있습니다. Meta Reality Lab 전체 인력은 1만 명 규모로서 현대자동차 기술연구소 인력과 비슷한 규모이지만, 석/박사 비율이 훨씬 높고 실리콘밸리에 자리 잡고 있어서 전 세계에서 미국에 와서 일하는 우수한 인재가 많은 점이 장점으로 느껴집니다. 

Q2) 먼 미국까지 가시게 된 배경이 있는지요?

 저는 현대자동차 기술연구소에 근무하면서 미국 등 해외 출장을 가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외국 연구소는 다양한 기술을 새롭게 도전하는 환경이 매우 인상적이었고,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 캘리포니아 주립대( California State Polytechnic  University, Pomona)를 유학한 적이 있어서, 언젠가는 미국에 가서 일하고 싶다는 소망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제가 18년간 현대자동차에 일하면서도 해외 근무 방법을 많이 준비했습니다.  미국 기술연구소 주재원 등도 기회가 있긴 하지만, 자녀 교육과 제 개인적인 경력 발전을 위해 2020년 이민을 오게 되었죠. XR1 Technology 스타트업에 일하다가 2022년에 Meta에 이직하여 4년째 근무하고 있습니다. 


Q3). 미국 기업 문화의 장점이나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미국 회사는 한국 회사에 비해 실제적인 성과 결과물에 집중하는 편이어서 매우 효율적인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한국 기업은 1년 전에 많은 계획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추진하는 반면, 미국 회사는 필요시에 자연스럽게 팀을 변경하고 예산을 활용해 연구를 추진하는 모습이 한국 기업에서 보기 힘든 유연한 조직 구조와 운영이 놀라웠습니다. 한국에서는 직원들의 팀 이동, 조직 변경에 대해서 1년 정기 인사 등을 통해서 진행하는 데 비해서, 미국 기업은 수시로 구조 조정을 이루기도 해서 매우 유연하게 상황에 대응하는 능력이 중요한 것이 특징입니다.



Q4). 학창 시절에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소회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가톨릭 학생회 SED TUA를 1998년에 만들었습니다. 동아리를 만들고 신부님 2분과 수녀님 1분이 나오실 만큼, 깊은 신앙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 학생을 모집하여 꽃동네 봉사활동을 다녀온 기억은, 가톨릭 신자가 아니어도 봉사의 진정성을 알게 해주었고 이러한 기회나 참여를 제공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재학시절 미국 교환학생으로 선발돼서, 5명의 학생이 미국에서 공부하면서 다양한 인종의 미국 친구들도 만들고, 캘리포니아 주립대와 미시간 주립대 교환학생들로서 미국 여러 곳을 다니면서 새로운 환경과 문화를 보고 배운 점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미국 내 한기대 학생으로서 서로 친밀감을 높이고 한국 음식을 오랜만에 먹었던 추억이 생각납니다. 같이 교환학생으로 갔던 친구, 선/후배는 아직도 연락하면서 지내는 끈끈한 사이가 되었습니다. 교환학생 경험 등은 현대자동차 입사하거나 메타에 이직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준 경험이었습니다.

Q5) 본인과 같이 미국 등 외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려는 후배들에게 팁을 주신다면?

 해외 (미국) 취업에 있어서, 전공 분야의 지식을 국제적으로 인정 받는 논문, 특허, 개발 경력, 수상 경력이 있으면 매우 도움이 됩니다. 저는 미국 특허 21개를 발명한 것이 미국 영주권 발급이나 미국 취업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현대자동차 일하면서 많은 특허 기술을 개발해서 75건 이상의 국내외 특허를 발명한 점도 미국 이민이나 취업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외 학회 발표나 개발 기술의 상용화, 전시회 참여 등이 실적 증명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미국 등 외국에 근무하는 분들의 인터뷰나 문의 연락 등을 통해서 실제 유용한 정보나 상황을 파악하게 되면, 아주 효과적으로 해외 직장생활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는 불법 이민자 추방은 강력하게 진행되지만, 해외 우수 이공계 인력에게는 NIW 기술 이민 영주권(EB2)을 제공하고 있어서 앞으로도 많은 우수한 이공계 인력은 미국 취업을 하고 활동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Q6) 한국기술교육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의 특성이나 경쟁력에 대해 자랑하신다면?

  한기대 메카트로닉스공학부는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배울 수 있어서, 이론에만 치우쳐 실무 능력이 부족하거나, 실무 능력은 좋은데 이론적 능력이 부족한 것을 방지하는 학과 과정 운영이 매우 좋습니다. 

실제 현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기초적인 분석과 해결을 위해서는 이론과 실습이 적절하게 숙달되어야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는 실무 경험이 많은 교수님과 실제 실험을 할 수 있는 실험 장비 여건이 좋은 것도 매우 큰 장점입니다.


Q7) 우리 대학 입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해주신다면?

  한기대는 학생들의 전공 실력을 높일 수 있는 실용적인 학업 환경으로서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학교입니다.  실험 실습을 지원하는 학교 과정이 실제 취업이나 연구 과정에 효과가 높은 만큼,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좋은 학업 성과를 내는 데 부족함이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교와 산업계의 연계 프로젝트나 현장 실무를 반영한 학과 과정도 취업에 있어서 중요한 동기가 되는 만큼 우수한 전문가로 발전하기 위해 한기대는 탁월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